전기차는 겨울 추위에 특히 취약합니다. 내역기관차과 다르게 엔진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아 내부를 덥히기 위해 히터도 별도로 틀어야 하는데 배터리는 영하의 온도에서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겨울철에 전기차를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하는 관리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겨울철 전기차 성능 저하
2. 겨울철 전기차 관리 방법
1. 겨울철 전기차 성능 저하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기온에 민감합니다. 두 종류 모두 겨울에는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데, 내연기관의 경우에는 10~20%의 성능저하가 일어나지만 전기차는 그보다 더 성능저하가 일어납니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영하 4도 이하로 내려가면 성능이 눈에 띄게 떨어지는데, 화학반응이 일어나는는 배터리의 특성상, 온도가 낮아질수록 배터리 내부의 화학반응이 크게 지연되기 때문입니다. 심한 경우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2. 겨울철 전기차 관리 방법
그래서 전기차는 겨울에 특히 더 관리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다음은 포드에서 제시한 겨울철 전기차 관리방법입니다.
주차 시
가능하면 실내 주차하고 충전기 전원을 연결해 미리 차량을 예열하면 도움이 됩니다.
야외 주차를 해서 차량에 눈이 덮여 있다면, 미리 눈을 털어내는 것이 주행 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운행 전
차량 내부 콘솔 혹은 전용 앱을 사용하면 차량 이용 시간에 맞춰 배터리를 미리 예열시킬 수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적절한지 확인해서 운행 중 에너지 효율을 높여야 합니다.
운행 중
열선 시트, 열선 핸들 등 전력을 소모하는 부가 기능은 필요할 때만 사용하고 평소에는 끄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영하 5도 이상의 추운 날이라면 차량히터를 쓰는 것보다는 열선 핸들과 열선 시트를 켜서 운행하는 것이 전력량 보존에 더 좋습니다.
과속, 급가속을 삼가고 주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전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충전 시
히터를 가급적 끄거나 온도를 충분히 낮춰서 충전 부하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한 달에 한번 정도 배터리 잔량이 20% 이하일 때 완속으로 100%까지 충전하면 좋다
'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속도로 유도선 색상별 의미 (0) | 2023.10.28 |
---|---|
자동차 실내 셀프청소 방법 (0) | 2023.10.27 |
주행가능거리 계산방법 (0) | 2023.10.25 |
차량 주행거리 측정 방법과 신차 보증수리기간 (0) | 2023.10.24 |
서울시 공회전 금지 구역 (0) | 2023.08.26 |